- 영문명
- Program Structure Exploration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문승(Shin, Moonse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8호, 455~4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태도와 정의적 변인 등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
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정하고,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QUOROM)에 의해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실험연구 38편을 선정하여 24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정의적 변인 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64(U3 =
74.54%ile)로,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및 정의적변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신장에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변인 중
대상 학년은 고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ta-analyze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academic-related variables such a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s and affective variables. And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program composition of th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target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Master 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July 2019 were selected. From 38 papers, a total of 24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of metacognition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664 (U3 = 74.54%il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and attitude development in subjects. In the case of interventional variables, the target
grades were higher in older grad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