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or Self-encouragement of Early adultho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im Kyeong) 홍정순(Hong Jung S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8호, 731~7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를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를 통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20세~39세의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불안, 자기격려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한 기간은 8월 14일부터 9월 1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순으로 검증하였으
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경향성
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자기격려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비교경향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매개효과가 자기격려에 의해 완화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was verified in early adults. To that end, 429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living in Gyeonggi-do and Seoul were administered fo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ocial anxiety, and self-encouragement. The period of time tha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was from August 14 to September 13.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based on SPSS Macro to analyze the mediated, moderated,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self-encouragemen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significant. That i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ends to affect social anxiety throu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se mediating effects have been confirmed to be mitigated by self-injury. Finally,
suggestions on the significances, limit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as described.er-centered education, even though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rather vaguely and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mong the practitioners in the educational fiel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