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raditional Markets Orient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유순호(Yu, Soon-Ho) 김우혁(Kim, Woo-Hyuk) ․ 김경숙(Kim, Kyung-Sook)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4권 제6호, 157~17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이 방문자의 만족도 및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시장 문화관광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2018년 12월에 동해 북평 민속시장에서 총 22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220개 설문지 중 202개의 설문지를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
구 분석결과, 첫째,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으로 본 연구는 이용 편의성, 상인 서비스, 주요혜택, 및 관련 정보를 발견하였다. 둘째, 전통시장 선택속성요인이 방문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시장 속성요인은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사업체의 해외 진출에 대한 장애 요인은 관광사업체의
비즈니스 유형, 진출 지역 및 진출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통시장이 관광지로서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o orient strategies for activating cultural tourism in traditional markets in South Korea, we investigated how certain attributes of such markets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with and intention to revisit them. In December 2018, 2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visitors at Bukpyeong Folk Market in Donghae, South Korea, and 202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ound four dimensions in terms of an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s: convenience, merchant service, a major benefit, and related information. Moreover,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s and visitors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industry practic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