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Outdoor Activities Shown in the Child Care Program Based on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주(Kim Hyun 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7호, 151~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제시된 실외활동의 주제별,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로 분석하여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실외활동의 다양화와 체계적인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3세, 4세,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수록된 실외활동과 오후 자유선택활동의 실외활동이다. 분석 방법은 생활주제, 누리과정 영역과 내용범주,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의 기준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생활주제별 분석에서 가장 많은 생활주제로는 3세와 4세 프로그램에서는 ‘환경과 생활’, 5세 프로그램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로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 영역과 내용범주 분석에서 3세와 4세 프로그램에서는 자연탐구 영역, 5세 프로그램에서는 신체 운동ㆍ건강영역이 제일 많았다. 셋째, 활동유형과 흥미영역별 분석에서, 전체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대소집단 활동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대소집단활동 유형에서는 신체 활동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게임 활동이 많았다. 개별활동의 자유선택활동 영역 기준에서 3세 프로그램에서는 모래ㆍ물놀이영역 활동, 4세와 5세 프로그램에서는 과학영역 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개별활동의 실외환경 흥미영역 기준 분석에서 3세 프로그램에서는 모래ㆍ물놀이영역 활동, 4세와 5세 프로그램에서는 자연탐구ㆍ관찰영역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유아들의 다양한 실외활동의 실시를 위해 다양한 활동유형과 흥미영역에 따른 활동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들이 사용할 지침서의 다양한 실외활동 구성이 편성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lanning and conducting of activities through analyzing outdoor activities explained in the child care programs publish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3-5 years old children based on Nuri curriculum by sorting activity types and area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outdoor activities from the child care programs for 3-5 years old children based on Nuri curriculum and analyzed them by annual topics and ages. Study method was sorting by annual topics, areas of Nuri curriculum and contents categories, and activity types and areas. As a result, first, high rate of frequency were ’Environment and life’ in the outdoor activities of the child care programs for 3 year and 4 year old children, and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e child care programs for 5 year old children. Second, high rate of frequency were ‘Nature exploration’ domain in the outdoor activities of the child care programs for 3 year and 4 year old children, and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domain in the outdoor activities of the child care program for 5 year old children. Third, the highest rate was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types, and physical activity types and game activity tapes in the analysis of sorting by activity types and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