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 Focused on development of project-based preven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im, Kyoun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7호, 477~5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15
국문 초록
학교폭력이 교육적 차원을 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방 중심의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교사의 실천적 역량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프로젝트 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활동을 핵심으로 하는 예비교사 대상의 교사교육 방안을 개발하고, 2018년 2학기 S대학교 교직 소양 과목인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강좌를 활용하여 이를 운영, 결과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해당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학교폭력에 대한 종합적, 맥락적 이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학교폭력 예방에서의 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더불어 프로젝트 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 예방과 관련한 실천적 지식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폭력 감지역량, 비폭력적 학급풍토 조성 역량, 전문성 개발 역량 등과 같은 교사역량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에 학교폭력에 관한 예비교사 대상의 교육과정 및 운영방식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School violence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beyond the educational level. And in order to solving it, prevention programs based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teachers’ practical ability have been emphasized. So this study suggested a plan of teacher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explored its possibility. For study, teaching course was developed composed of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of project-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y small group, conversation with middle school teacher,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s and ran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in the second semester of 2018.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Students’ understand of school violence has increased. Second,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and professionalism i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ird, it was found that students generated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roject-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is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 foster practical competence of teachers such as sense of school violence, building of non-violent climate,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