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rapeutic Psychodrama Encounter-model for a Victim of School-violence and Case Stud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대연(Oh Dae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6호, 269~2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폭력 피해자 치유를 위한 심리극 모델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은 만남 중심의 심리극 모델이다. 이는 기존의 모델들을 분석하여 사건 중심의 심리극 모델에서 인물들과의 만남을 중심
으로 보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남 중심 모델을 사건, 상황설정, 타인만남, 자기만남, 마무리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별 주요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 세 명의 사례 연구
를 2019년 3월 14일 실시하였다. 모델을 토대로 심리극 진행자가 심리극을 진행하였고, 모델에 따른 심리극 진행이 어떠한 치유적 변화를 일으켰는지 ‘외상 후 진단검사(PDS)’를 실시하여 단기 효과와 장기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남 모델을 적용한 심리
극 진행 결과, 세 명의 참여자들 모두 심리극 진행 전에 있었던 학교폭력 피해 트라우마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인물중심, 만남중심의 심리극적 접근의 효과성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남모
델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피해 치유뿐 아니라 다양한 문제 영역에 적용, 검증 및 이론적 고찰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sychodrama model of a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The new model is encounter-model that focuses on being out of other’s negative influence by encountering not incidents but humans. This model consists of 5 steps (Incident, Situation setting, Meet other people,
Meet yourself, Wrap-up). This model was applied to 3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much less trauma symptoms both of them, (2) they said that they could more positively meet themselv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need for a magnified encouter-model that could be applied to many problem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