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igher-Order Thinking’ in Middle School Eth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Centered on the Discourse of M. Lipman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욱(Park Sang 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6호, 495~5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 중 고차적 사고기능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고차적 사고는 미국의 교육학자인 Metthew Lipman의 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Lipman은 기존의 비판적
사고 중심의 교육 흐름에서 창의적 사고, 배려적 사고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사고로의변화를 주장한다. 이는 통합적 도덕 교육, 탐구와 성찰로서의 도덕 교육, 합당성을 추구하는 도덕 교육,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도덕 교육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고차적 사고 함양을 위한 도덕 수업을 위해서는 공동체적 접근, 대화 중심의 접근, 내러티브 접근, 철학적 접근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들은 Lipman이 제안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을 통해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faculty for higher-order thinking among the faculties stated in the subject of Moral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otion of higher-order thinking as stated in the curriculum is based on the discourse of the American scholar of education, Matthew
Lipman. Lipman advocated going beyond the previous educational trend which focused on critical thinking, for one based on multi-dimensional thinking which includes creative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integrated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as exploration and reflection, moral
education that pursues appropriateness, and ethics education as an aesthetic experience.
Furthermore, moral instruction for nurturing higher-order thinking calls for the communal approach, dialogue-centered approach, narrative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목차
Ⅰ. 서 론
Ⅱ. 고차적 사고기능의 의미
Ⅲ. 고차적 사고 기능의 도덕 교육적 의미
Ⅳ. 고차적 사고 함양을 위한 도덕 수업의 제 접근
Ⅴ. 실제 수업 적용 사례 –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 중심으로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