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earning Method for Sino-Japanese according to Correspondence Rules: The a (ㅏ) Vowel of Sino-Korea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하소정(Ha, So-Jung) 이경철(Lee, Kyong-Chul)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32輯, 255~2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常用漢字(2010)에서 音讀을 가진 漢字 가운데 한국한자음의 母音 [ㅏ]에 대응하는 常用漢字 104字 119音을 추출한 후, 漢字의 中古音 韻母별 분석, 日本漢字音의 系統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얻어진 한국한자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여 대응규칙과, 이 대응규칙에 따른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1] 한국한자음의 母音 [ㅏ]는 일본한자음의 a에 대응한다. 이와 관련해서 한·일 한자음의 형성시기가 겹쳐있다는 사실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2] 한국한자음의 母音 [ㅏ]는 일본한자음 i에 대응하며, 이때의 한국한자음은 대부분 [사·자·차]에 해당하며, [··]에서 아래아[ㆍ]의 소실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3] 한국한자음의 母音 [ㅏ]는 일부 ja에 대응하며, 이때의 한국한자음은 모두 [사·자·차]에 해당하며, [샤·쟈·챠]에서 單母音化한 것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tracted 104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a/ (ㅏ) vowels of Sino-Korean in the Joyokanji Table (2010). The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 elationships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Furthermore, we considered a learning method to help learn Sino-Japanes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Among the 119 /a/ sounds of Sino-Korean, 53 sounds (44.53%) correspond to the /a/ vowel of Sino-Japane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formation period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overlapped.
[2] Among the 119 /a/ sounds of Sino-Korean, 41 sounds (34.45%) correspond to the /i/ vowel of Sino-Japanese. In this case, Sino-Korean are/sa/·/tsa/·/ tsh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sa/·/tsa/·/tsha/ of Sino-Korean came from/sɐ/·/tsɐ/·/tshɐ/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deletion of the Are-a/ɐ/ vowel.
[3] Among the 119 /a/ sounds of Sino-Korean, 16 sounds (13.44%) correspond to the /ja/ vowel of Sino-Japanese. In this case, Sino-Korean are /sa/·/tsa/· tsh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rms /sa/·/tsa/·/tsha/ came from /sja//tsja/·/tshja/ by single vowe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a
Ⅲ.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i
Ⅳ.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ja
Ⅴ.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e
Ⅵ.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ai
Ⅶ. 한국한자음 [ㅏ]에 해당하는 일본한자음의 u
Ⅷ. 학습상의 유의점
Ⅸ.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