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coming Ethical Pre-service Teachers: Mor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아(Kim, Jin-ah) 임민정(Lim, Mi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5호, 211~2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덕 역량 및 교직윤리를 함양하기 위해 교사양성과정에서 실행된 도덕적 상상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질적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윤리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참여관찰, 사례 수집, 면담 등의 과정을 포함한 연구 설계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직과목과 연계되어 제공된 도덕적 상상력 기반의 교직윤리교육에 참여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과 활동내용을 관찰하였고, 강의종료 이후 5인의 주요 참여자들과의 개인면담 자료가 질적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 대부분이 교육 경험을 통해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유아교사됨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윤리적인 교직 실천에 대한 책무감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도덕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직윤리교육의 적용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moral imagination program implement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which aimed to cultivate mor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ethics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including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s experience and meaning of teaching ethics education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case collection, interview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activities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and individual retrospective interviews with fi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conducted after the course end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course tended to develop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subsequently representing their growing ethical accountability as teaching profession through reflection on becom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implications for applying mor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