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about Myanmar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Thandar Lin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5호, 1283~1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2월부터 2019년 7월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미얀마어’, ‘미얀마인 한국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버마어’, ‘버마인 한국어’, ‘버마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검색 과정을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 61편을 확보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보된 연구들은 연도, 발행 형태, 연구 주제, 연구 대상, 대상 언어, 연구 방법으로 구성된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폭발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법 규정과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미얀마어와 한국어의 언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을 거친 대조분석적 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박사급 연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았음이 확인되었다. 본고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과 그 시사점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며, 연구가 부족한 분야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Myanmare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es related to Myanmar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research material, and these materials are collect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by inputing keywords Myanmar language , Myanmarese Korean language , Myanmarese Korean Language Leaner , Burmese language , Burmese Korean language , and Burmese Korean Language Leaner . From February 2019 to July 2019, Th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61 researches were collected as research material. These materials were analyzed under the criteria that consist of year of publication, publication types, field of study, subject, language,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amounts of researches has been a steep rise in 2012 because of political issues and the conditions of the market economy in myanmar, and this trends has been lasting for about 8 years. The Contrastive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mostly detected in research material. and There were few Doctoral thesis in data of the study. This paper ushers in understanding for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ies related Myanmare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And This study introduces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research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