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real life problem solving process of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성령(Han Seong Ryeong) 윤종국(Yun Jong Gu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1035~10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국문 초록
선행연구에 의하면 탈북학생들은 특히 실생활 문제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북학생의 실생활 문제 해결과정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여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탈북학생들은 외래어와 한자어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남한과 북한의 문화적 차이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독해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 다. 이 독해에 대한 어려움은 국어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낮거나 부정적인 인식, 낮은 학업 성취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탈북학생들은 문자나 기호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탈북학생들은 문제에 제시된 숫자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 하는 경향이 강했다. 다섯째, 탈북학생들은 표나 식에 대한 익숙함을 갖고 있었다.
여섯째, 탈북학생들은 공식에 대한 오류와 이해 측면에서 결여가 있었다. 이와 함께 일곱째로 선수 학습에 대한 결여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탈북학생들은 반성 및검토과정에 대한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al life problem solving by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have many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South Korean school and society, and the biggest factor is the gap in learning before entering Korea.
As a result,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had some characteristics. First, the defecting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foreign language and Chinese characters. Second, there was a difficulty in reading. Third, defecting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texts and signs. Fourth, defecting students have solved the probl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numbers presented in the problem. Fifth, defecting students were familiar with the table or ceremony. Sixth, defecting students had a lack of error and understanding about the formula. Finally, defecting students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reflection and review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