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nd Future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종희(Jeon, Jonghee) 홍성훈(Hong, Seong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891~9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oward Gardner가 1983년 ‘마음의 틀(Frames of Mind)’을 발표한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 적용되어온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향후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이론은 누구나 8개의 지능이 있고, 서로 다른 지능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강점 혹은 약점 지능은 개인마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각 지능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다중지능은 개인이나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상이한 유형으로 결합함으로써 탁월한 능력과 성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의 구성과 발달, 개인 내·외 상호작용을 통한 다중지능의 계발과 발휘, 다중지능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다중지능의 추가 가능성과 향후 방향을 탐색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 연구의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시되는 현 시대에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nd future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at has been applied and spread worldwide since the publication of ‘Frames of Mind’ by Howard Gardner in 1983. Multiple intelligences suggest that everyone has eight intelligences and shows different intelligence profiles. Strengths or weaknesses intelligence is manifested in a variety of ways, and each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each other. Multiple intelligences can manifest as excellent abilities and achievements by interacting within individuals or groups and combining them into different type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basic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multiple intelligences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interacti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possibilities of additional intelligences and future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iscussion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present age where diversity and creativity are emphasized.
목차
Ⅰ. 서론
Ⅱ. 다중지능의 구성과 발달
Ⅲ. 개인 내·외 상호작용을 통한 다중지능의 계발과 발휘
Ⅳ. 다중지능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Ⅴ. 다중지능의 추가 가능성과 향후 방향
Ⅵ.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