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ame-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ultural Properties and Experience of Gam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택(Lee eun-taek) 임상훈(Im Sanghoon) 유슬기(Yoo Seulki) 정하은(Jung Haeun) 유영만(Yeong- Mahn Yo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43~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구인을 생활공간에서 발견된 개인의 ‘불편 함’을 감지하는 공감으로 설정하고 게임을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나’의 생활공간의 문제와 목표 그리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게임 상황에 내재화시켜 게임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 해가는 것으로 인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했다.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하기 위해 게임 디자인 원리와 게임 리터러시의 속성을 연구 과정에 적용하였으며, 반복적 게임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상황과 문제 드러내기(problem setting)- 규칙 만들기(creating rules and roles) - 규칙 수행하기(play party) - 성찰하기(reflect on the party) - 새로운 규칙 만들기(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에 따라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문화로써 게임 경험에 근거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이 살아가는 공간’의 문제에 접근하여 교실을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생태계의 관점을 갖게 하여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직접 찾음으로써 지식으로서 인성을 넘어 실천하는 인성이 발현될 수 있는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n empathy that begins with the uncomfortable of individuals found in living space. The learner solves the problems, goals and goals of their living space through the community s consensus process in a game situation. The elements of game design and game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for program design, and the research was followed by the iterative design process, the game design process. As a result, phase problem setting - creating rules and roles -play party - reflect on the party - 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 was deriv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game, learners reproduce the living space according to their strategy. In the course of playing the game, solving the problems that surround you one by one is an opportunity to expand you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 The learner will be a player who creates a process, not a spectator to Charact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문화로써 인성교육을 위한 게임
Ⅲ. 연구방법
Ⅳ.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방향성:
멈춰버린 교실을 뛰게 하라!
Ⅴ. 결론 및 제언: 인성 경험을 위한 문화 만들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