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샛별(Kim, SaetB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961~9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시행된 2018학년도 전국 고등학교 수행평가 계획서를 분석해,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가정교과의 수행평가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가정과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index.jsp)에 탑재된 전국 고등학교 2,358개교(KOSIS, 2018. 12. 04) 중 무작위로 287개교를 추출하여, 기술·가정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204개교의 1, 2학기 가정과 수행평가 계획서이다. 분석결과 총 798개의 수행평가 과제가 추출되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한 학기에 약 2개의 가정 수행평가 과제를, 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실습 26.3%(210개), 서술·논술 18.4%(147개), 연구보고서 12.0%(96개), 포트폴리오 10.3%(82개) 순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개념별 수행평가 과제를 분석한 결과 ‘생활 문화’ 핵심개념의 단원에 수행평가 과제가 집중되었으며, ‘안전’, ‘관리’, ‘생애 설계’ 핵심개념의 단원에는 수행평가의 개수와 종류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핵심개념’별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을 적용한 균형 있는 수행평가 과제 개발과 현장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high schools by analyzing the 2018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high schools, applying newly revised curriculum in 2015, across the country. With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287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358 national high school listed in School Info (http://www.schoolinfo.go.kr),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204 schools carrying out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finally were analyzed. 798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were extracted, it indicates that a high school performs approximate 1.96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per one semester. The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 the order of “Experiment and Practice (26.3%),“Narrative and Essay Writing (18.4%)”, “Research Report (12.0%)”, and Portfolio(10.3%)”.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ask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highly concentrated on the core concept of “Living Culture”, while the number and type of tasks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nd “Life Course Design” are very scarce. Therefore, we propose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pplying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across the core concep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