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s with the issue of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박혜경(Hye 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27권 제3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많은 기대와 논란 속에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성 역량을 키운다는 취지로 시행된 인성교육진흥법이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성교육진흥법』의 쟁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쟁점은 인성교육의 핵심가치, 인성교육의 기준과 방법, 예산편성,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설치, 평가 등이다. 그 결과 첫째,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인성교육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는 농어촌 및 도서벽지 지역에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교육권의 실현을 위해 교육주체들의 다양한 참여와 소통창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as implemented in the much anticipated and controversial. But the future society needs to raise the capacity toughness Education Promotion is conducted in the spirit but need a discussion on some of the issues in order to achieve tha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ning legal issues to enhance the toughness capability. The issues are the core values of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tandards and methods, budgeting,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committee, evaluation, etc. The result first, to ensure the right to education of students toughness training shall be conducted for all students. Second,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shall be operated as part of the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 learning environ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islands wallpaper. Fourth, it should provide a variety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unter subject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인성교육진흥법의 배경과 내용
Ⅲ. 인성교육진흥법의 쟁점과 과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