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Era of North and South Korea Un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가영(Kim, Ga-Young) 김효정(Kim, Hyo-Jung)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7권 제3호, 139~1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의 통합 미술 교육과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에 있으며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의 교육정책과 미술과 교육제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탐색한 후 남북한 교육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되어 있는 미술교과서와 남한에 존재하는 최신 북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 제도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 선정은 357개의 학교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3종의 교과서와 북한의 2013년 개정 초급중학교 교과 서로 선정하였다. 셋째, 북한의 교육환경과 미술교육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하여 2명의 탈북청소년과 이들을 가르치는 3명의 북한교육관련 전문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인터뷰에 대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고찰에 더하여 남북한 통일시 통합 미술 교육과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의 교육과 미술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오랜 시간 분단으로 인한 이질감을 해소하고 통일시 남북한 미술교과를 통합하는데 있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of South and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era of unification.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policies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arts and education system,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sought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was explored. Second, compared and analyzed the art textbook system and contents based on the art textbook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the latest North Korean textbooks in South Korea. Third, for the purpose of deep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and art education, we interviewed two North Korean teenagers and three North Korean education experts who teach them. fourth,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was proposed in addition 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se results will proved insight into the current stated of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Korea, contribute to the dissolution of long term disparity, and to the integration of artistic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Unification.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남북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비교 분석
IV. 통합 미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고찰및 방안 제안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