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 -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081

영문명
Analysis of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nd Rubric Presented in Performance Assessment Plan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김수진 김선 반재천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2권 제1호, 131~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작성한 수행평가 계획서에 제시된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이 수행평가 과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D광역시 123개교 중학교 3학년 국어과의 수행평가 계획서를 학교알리미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적절성에 대해 9개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가 횟수 및 시기의 명확성,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인 사고의 요구 여부에 대해 61%~66%정도만 적절했다.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할 때 특히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 사고 요구 여부, 과업 지시의 명확성, 여러 가지 교육목표의 측정은 수행평가 과제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절성 비율이 44%~63% 정도에 불과했다. 둘째, 수행평가의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에 대해 11개 평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평가 기준에서 ‘다소 그렇다’ 이상으로 판정된 채점기준표의 비율은 76%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전체 연구 자료의 42%는 수행평가 과제에 대한 기술이 없었으며, 61%는 채점기준표의 제시 자체가 없었다는 것에 비추어볼 때 많은 채점기준표가 충실히 작성되고 있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수행평가 과제 유형 중 포트폴리오(27.4%)는 다른 유형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task and the rubric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type, and the suitabil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the rubric presen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this study,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the 123 middle schools 3rd grade, 2nd semester of Korean literature Course department of D metropolitan city was downloaded from the school information web sit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in terms of nine assessment standards, 61% to 66%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was suitable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required high-level thinking. Second,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a whole. More than 76% of the scores for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came out to be “somewhat” or higher. However, 42% of the study data did not have a descrip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61% of them didn’t have a rubric. Third, it was found that portfolio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amo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but ironically it had the least properly developed task and rubric among them al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진,김선,반재천. (2019).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 -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32 (1), 131-153

MLA

김수진,김선,반재천.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 -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32.1(2019): 131-15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