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Dead Leaves and Living Leaves of Various Trees in Young Dong Forest Area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영주(Park, Young-Ju) 이시영(Lee, Si-Young) 신영주(Sin, Young-Ju) 김수영(Kim, Su-Young) 김영탁(Kim, Young-Tak) 이해평(Lee, Hae-Py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98~302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동지역 주요 7가지 수종의 낙엽과 생엽을 대상으로 착화특성을 고찰하고자 강우 전과 후의 연료를 채취하여 연료의 함수율과 가연성과의 관계, KRS-RG-9000을 사용하여 착화특성을 고찰하였다. 시험결과 침엽수 낙엽은 강우 후 대기노출로부터 상온에서 144시간 경과 시 함수율이 10% 이하로 건조되어 가연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활엽수는 자연발화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저온에서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침엽수보다 내화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the test to examine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such as a relation of moisture content and combustibility, and ignition temperature using KRS-RG-9000 tester, living leaves and dead leaves of significant 7 species of Young Dong Provinces of Korea after and before the rainfall. After 144 hours at normal temperature,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 of the needle-shaped leaves was less than 10%. So it is suppose to be ignite easily. On the other hand, the self-temperature to ignite of broadleaf is higher. So the retard time at lower temperature is more long than needle-shaped leaf. Consequently, the fire-resistant qualities of broadleaf is higher than needle-shaped leaf.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