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rners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Small Group Work: Focusing on Implementing an English Assign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영(Sunyoung He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721~7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소규모 활동을 과제로 수행한 후,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소규모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들의 성별, 전공, 영어성적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소규모
활동과 관련한 구성 요소에 관한 학생들의 견해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총 140명의 학생들에게 4주에 걸친 수행과제로 소규모 활동을 부여하였다. 활동을 마치고 나서 소규모 활동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60%의 학생이 만족 또는 매우 만족했다고 응답하였다. 만족한 학생과 그렇지 않았던 학생 간의 차이는 학습자들이 ‘시간’과 ‘효율’에 관하여 보여주는 견해에서 크게 나타났다. 만족하지 않
았던 학생들은 소규모 활동에 사용되는 시간에 대해 부정적 시각이 있었던 것에 비해 만족한 학생들은 효율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더욱 중시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성별, 전공과 소규모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자의 영어성적과 소규모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소규모 활동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학생들은 매우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영어성적을 향상시키는 것을 활동의 목표로 두었으며, 네 명의 친한 학생들로 구성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활동 수행 기간은 한 달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활동에 대한 평가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견해는 보다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소규모 활동을 기획하여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learners perspective of the small group work by accomplishing an assignment out of the classroom. For thi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①Are the learners satisfied with their small group work? ②Are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satisfaction and their backgrounds such as their
gender, major, and English competence. ③What opinions do the learners have on the details of small group work? One hundred for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given an assignment which was to make their own groups by themselves and accomplish their own goals during one month. After completing their assignments,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analys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①60%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small group works whereas 10% of the students were not. The two key words time and efficiency were derived from the students reasons for their satisfaction. Dissatisfied students
highlighted negative aspects of time while satisfied learners appreciated efficiency for their group work. ②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degree of the small group work and the learners gender and major except for their English competence. However, the correlation of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English competence was very low. ③The students identified their opinions about the details of their small group work. They preferred improving their English ability as the best goal of their work. They responded that 4 students were most proper for forming a group. They also mentioned that close classmates are best for composing a group.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1 month was the most suitable time period for a group work. In regards to the criteria of their work assessment, the participants preferred the result of the work to the procedure of the work.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have their own independent and autonomous idea
for accomplishing their small group work.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ful not only for more efficient small group works but also for other successful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English classroo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