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s of E-learning Experience, MOOCs specificity, Learners Background on the Acceptance of MOOC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순정(Cho, So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15

국문 초록
동 연구는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MOOC 수용 요인을 규명하고 인과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였다. 앞선, 2015년 연구 당시 소개한 E-러닝 기반의 개념 모형 위에 MOOC 특성과 학습자 배경에 관한 변인을 추가하여 설문 응
답, 인터뷰 내용과 토론방 자료를 분석했다. 2018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4년제 대학생과 해외 거주를 포함한 사이버대 재학생 등 총 189명의 설문 응답을 조사한 결과, MOOC의 용이성과 함께 MOOC 강좌에 대한 해석 수준이 매개되어 MOOC 수용
의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MOOC의 유용성, MOOC 교수자와 상호작용과 MOOC에 접근했던 심리는 수용 의도에 끼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 배경에서는, 주관적 규범은 조절 효과로 작용했으나 수강자의 영어 실력은 조절
효과로 연관이 없었다. 한편, 설문지의 자유 서술(51명), 별도의 현장 면접(6명) 및 온라인 토론방(14명)에서 얻은 텍스트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바, 영어학습 병행과 관심분야 지식 습득에 따른 유용성, 수강에 조건 없이 공개된 용이성, 교수자의 원어
민 발음에 따른 해석 수준과 시청각 효과에 의한 상호 작용이 MOOC 수용에 관계가있었다. 아울러, 교수자의 명성이 MOOC의 접근에 심리적으로 작용하였고, 보다 영어 실력을 높이려는 수강자의 의욕도 MOOC 수강 의지에 일조했다. 동 연구는
MOOC를 활용한 교육 현장의 플립러닝과 평생 학습을 위한 교육정보화는 물론 영어문 강의 도입에 관련된 K-MOOC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factors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acceptance, explaining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across the key factor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and findings from a pilot study conducted in 2015, this empirical research analy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by adopting a mixed method. To
sharpen the former research framework, it applied interaction theory as well as construal level theory and selected three constructs that ma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MOOC: E-learning experience, MOOC specificity, and learners background. This work, as the main study, then undertook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irst half of 2018,
followed by text-based inquiries, face-to-face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in February/July 2018. Using survey data from 189 local/overseas Korean general and online university student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identified ease of use in terms of E-learning and construal level within the context of MOOC specificity exerted
an influence on MOOC acceptance, while the background of learners controlled the level of accepting MOOC; however, competency in English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Freestyle replies,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revealed that not only improvement in English and knowledge acquisition by personal interest, but also the openness to all potential learners across the borders led to accepting MOOC. Interaction with a native-speaker accent and practical audio-visual tools were keys to selecting MOOC
whereas the reputation of MOOC lecturers played a minor role psychologically in the MOOC s approach. Besides, the desire of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affected the willingness to accept MOOC.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MOOC in the area of lifelong and higher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MOOC to
flipped-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K-MOOC in delivering lectures in Englis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