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ire investigation & calorie analysis of main trees in Go-sung wildfire land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동현 고재선 최세환 김광일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13 No.1, 31~3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3.30

국문 초록
1996년 4월 23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에 대한 현장조사와 주요수목인 굴참나무와 소나무에 대한 열량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산불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크게 기상, 연료, 지형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데 기상 조건에서는 산불위험경보 수준이었고, 연료 조건에서는 높은 열량값을 가지고 이쓴 소나무 순림이 전체 산림의 63%를 차지하고 있었다. 산림의 지형에서는 지형의 변화와 기복이 크며 단순상향사면형의 지형이 어우러진 골짜기 형태로 급경사지가 대부분이었다. 주요 수목인 소나무와 굴참나무의 열량 실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나무의 경우 부위별 전체 열량값이 13.43kcal/g, 굴참나무는 9.46kcal/g로 나타났다. 열분해에 의한 질량손실의 경우 소나무가 굴참나무보다 약 35.71∼10.05% 더 높은 질량 손실률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나무가 굴참나무보다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tain어 an actual investigation of a wildfire which broke out on 23 April R 1996 in Go-sung Kun, Kang-won Do examined the calories and the total calories of the m main trees which were Quercus variabillis and Pinus densiflora. There were three important f fire spread factors which were weather condition, fuel condition and terrain. The weather c condition was the most dangerous alarm level. The fuel condition having a high calory v value, Pinus densiflora made up 63% of the forest. Terrain of the forest were mostly c covered by steep slopes and complicated line construction. This experimental calorie study a about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lis showed that Pinus densiflora had 13,341‘caνg a and Quercus variabillis had 9.64kcaVg. In the case of weight loss of pyrolysis, Pinus d densiflora had a higher percentage rated 35.71 -10.05% than Quercus variabillis. Accordingly, P Pinus densiflora showed lower than Quercus variabillis in heat resistan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