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High School Automobile Chassis Textbook Illustrat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상(Lee Euns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55~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15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시기별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5권의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 제시된 1442개의 삽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
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삽화가 제시된 단원은 동력 전달 장치 단원이었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자
동차 섀시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삽화의 유형은 그림 도해였다. 셋째, 페이지당 삽화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그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넷째, 자동차 섀시 교과서에서는 도표나 캡처 유형의 삽화가 매우 적게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에 대한 분석을 시행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utomobile Chassis”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searcher analyzed 1,442 illustrations presented in 5 textbook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nit with the largest number of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was the unit on power transmissions. Second, the type of illustration most often presented in the
textbooks was picture-explanatory diagrams. Third, as the ratio of illustrations per page was analyzed, the ratio gradually decreased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Fourth, in the automobile chassis textbook, there are very few charts or capture-type illustra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ttempted something new in an environment where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analyze illustrations in textbooks at vocational high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고등학교 자동차 섀시 교과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