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of parents’ child development, parenting knowledge and coercive disciplin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수영(Yang su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123~1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발달, 양육지식 및 강압적 훈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 살펴보고, 이를 활용해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
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05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11개를 제외한 총 194명의 응답 자료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부모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발달, 양육지식 및 강압적
훈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 x2검증과 fisher의 정확 검정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유아발달, 양육지식 및 강압적 훈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발달,
양육지식 및 강압적 훈육에 대한 인식은 부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녀수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모들은 인지발달 및 신체운동발달에 대한 이해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강압적 훈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인식관계는 부모 배경변인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강압적 훈육을 지양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hild development, parenting knowledge, and coercive discipline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o propos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parents’ education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roper growth of early childhood. For this purpose, face to face questionnaire survey of 205 parents having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was conducted. A total of 194 respondents were used as study data except for 11 cases which answers were inadequate. Independent sample t-test, x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 according to parent background variables. And fo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child development, parenting knowledge, and coercive disciplin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arents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Also, parents perceived the need for coercive discipline to be more aware of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was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event forced discipline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