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Flow Participating Squash in University Sport Center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노미영(Roh Miyoung) 이만령(Lee Manr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1079~1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스쿼시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케어링 분위기와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소재 3개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스쿼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242명에게 케어링 분위기, 참여동기 및 운동몰입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13부를 제외한 229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상관없이 케어링 분위기는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모두 운동몰입에 긍정적 영향력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케어링 분위기가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외적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반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대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케어링 분위기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대학 내 사회체육센터 운동수업에서 교수자가 형성하는 수업분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운동참여율이 저조한 대학생들의 운동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flow participation squash in university sport center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based on HMIEM(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28 (98 male=98,
female=131)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squash class. For data processing,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Cronbach’s a and cross correlation. AMOS 21.0 Program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regardless of gender caring climate was
positively affected to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then participation motivation positively to exercise flow. And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caring climate → intrinsic motivation, boys were higher than girls while girls had higher factor loading to the path of extrinsic motivation → exercise flow than
boys. This finding suggest that teachers would consider to create caring climate to improv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flow depending on the gend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