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 Analysis on Invention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공주(Mun, Kongju) 황요한(Hwang, Yohan) 김민기(Kim, Mink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657~6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명교육의 언어적 개념을 다면적으로 탐색하고 관련된 주제어들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발명교육과 관련된 국내연구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3년에서 2018년까지 KCI 등재 및 KCI 등재 후보 학술지에서 ‘발명교육’을 주제로 한 291개 논문의 제목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형태소 분석을 통해 417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언어클라우드로 가시화하였고, 빈도가 높은 상위 32개의 주제어들의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프로그램’, ‘발명’, ‘초등’ 순으로 나타났으며, 매개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발명’, ‘내 용’, ‘초등’, ‘프로그램’이었다. 여전히 발명교육 연구의 주제가 초등을 대상으로 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또는 적용과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식재산교 육, 중등교육 등으로 연구 영역이 넓게 확장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7년 부터 법으로 규정된 학교현장의 발명교육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전파될 수 있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d multifaceted concepts of invention education and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291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KCI journals and the KCI nominate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8 with the key words of ‘invention educati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identified 417 key words and visualized their semantic clouds. The most frequent 30 key words were further examin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mong them, ‘program’, ‘contents’, and ‘elementary’ present the largest degree centrality, while ‘invention’, ‘contents’, and ‘elementary’ present the largest betweenness centrality. In other words, most studies on invention education are limited to the elementary education backgrounds, overlooking advanced concep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ies or secondary education. The finding warrants for our attention to enlarge efforts and researches of school invention education that has been supported by the law ‘Act on the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Invention Education’ enacted in 2017.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