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in College Student: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현(Park Mi-hyun) 최경란(Choi, Kyung Ran) 홍지영(Hong, Ji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1305~13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사회불안 인식, 정서표현양가성, 무조 건적 자기수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사회불안, 정서표현양가성, 무조건적 자기 수용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순차적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사회불안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화 경험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 인식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무조건적 자기수 용의 매개효과가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부모화 경험으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amv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 of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arentification, social anxiety were given to 389 enrolled students of universities in Chonbuk. used to perform mediated effect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results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dicate the parentifi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dual mediating effect.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social anxiety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s parentific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