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Outdoor Pla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애선(Shin, Ae Sun) 안경숙(Ahn, Gyoung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1089~11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I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의 바깥놀이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I 유치원의 바깥놀이 과정에 대한 관찰 자료를 수집한 후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상호작용을 통해 바깥 놀이를 확장해 나가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자연물에 대한 탐색과 탐구를 통해 자연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 다. 셋째, 자연과의 상호 호혜적 관점에서 자연친화 교육적 경험을 갖게 되었다. 넷째, 놀이를 통한 통합적 학습 경험을 갖게 됨으로써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다섯째, 호기심과 경이감을 통한 생태학적 조망수 용능력의 기회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5-year olds’ outdoor play activities process based on constructivism approach of I kindergarten.
Toward this aim, which was investigated by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of Lincoln & Guba(1985). Th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interac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expanded children’ play actively. Second, children has been constructed the knowledge about natural world together through explore and inquiring mind. Third, play was changed to the play space. Forth, play provided for the chance integrated learning. Fifth, the children originated ways of interactive playing with nature in various way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