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혜진(An, Hye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789~8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3년도에서 2015년도까지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3차년도 (초6), 4차년도(중1), 5차년도(중2)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4차년도(중1)에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4차년도(중1)에서 나타났으며, 3차년도(초6)와 4차년도(중1)에서 친구지 지와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층화임의추출방식으로 표집을 추출 함으로써 한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특성을 대표하는 종단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년별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한국사회의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적 처치가 학년별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about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depend on school year. This data used in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wave 3-5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 analyzed this panel data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4th year(7th grade). Second, Family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4th year(7th grade). Also, Friend and teacher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3rd year(6th grade) and 4th year(7th grade). This study had contribution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had educational implication to consider multi-cultural adolescents’s program for adaption of Korea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