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s of Class Activities, Out-of-Class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숙(Lee, Hyun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53~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대학생 인성발달을 위한 교육환경마련과 기회제공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생의 교내 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가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까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33개 대학에 재학중인 2, 3, 4학년 남녀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 다. 분석에는 최종 317개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교내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7개의 하위요인(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력, 타인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정신)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활동 참여도는 심미적 소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세계시민정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타인에 대한 존중, 심미적 소양,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긍정적인 생활태도, 도덕적 판단력, 세계시민정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out-of-class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33 universities based in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317 except 11 incomplet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gree of out-of-class activit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In specific,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ee activities and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class activ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while their out-of-class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only two sub-constructs: pursuit of the common good and world citizenship. Seco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six sub-constructs except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 d develop students class, out-of-class, and leisure activities tailored to the purpose and needs for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meeting their nee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