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gi wihae(seo)/wihan’ and ‘eul/leul wihae(seo)/wihan’ for Education on Korean Wri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진숙(Lim Jin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2호, 475~4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을/를 위해(서)/위한’, ‘기 위해(서)/ 위한’에 대한 논의가 기존 연구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한국어 교재와 문법서에 ‘을/를 위해(서)/위한’, ‘기 위해(서)/위한’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 본 결과 형태적 제시 방법과 의미 전달 방법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교재에 형태나 의미가 통일되어 있지 않으면 학습자들 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통일된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텍스트와 쓰기 모범 답안에 제시된 문장을 추출하여 의미와 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마련하였다.
첫째, ‘을/를 위해(서)/위한’, ‘기 위해(서)/위한’의 의미 범주를 정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었다. 선행부가 가지는 ‘지향성’과 ‘비현실성’을 정확하게 인지하게 하고 선행부의 목적과 후행부의 행위의 공기 관계를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을/를 위해(서), 기 위해(서)’의 형태는 일부 조사와 결합 될 수 있음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한국어 교재에는 언급이 없었으나 한국어능력시험 텍스트에 많이 노출 되므로 명시적 언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위하다’가 ‘이롭게 하거나 돕다’,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하다’의 의미를 가질 때는 고정된 조사 ‘을/를’이나 선행절을 명사형 전성어미화 한 ‘기’의 형태에 ‘위하다’의 활용형 ‘어/아서’나 관형사형으로 제한 적으로 사용되는 불완전 용언임을 명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previous studies did not discuss fully ‘eul/leul wihae(seo)/wihan’ and gi wihae(seo)/wihan that were used in Korean writing in high frequency.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esentation of ‘eul/leul wihae(seo)/wihan’ and ‘ gi wihae(seo)/wihan’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book and found that there was no unity between the methods of formal presentation and those of semantic delivery. No unity in the forms and meanings of teaching materials may confuse learners, which raises a need for their uniform presentation.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to help learners reduce writing errors: first, there is a need to deliver the semantic scopes of ‘eul/leul wihae(seo)/wihan’ and ‘gi wihae(seo)/wihan’ clearly. It is needed to recognize orientation and unreality in the preceding part accurately and present co-occurrence relations between a goal in the preceding part and an act in the following part explicitly. Secondly, there is a need to show the forms of ‘eul/leul wihae(seo)’ and ‘wihae(seo)’ can be combined with some postpositions. It is not mention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but it requires an explicit mention since it is much exposed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Finally, when ‘wihada’ means doing something beneficial or helping or trying to achieve certain goals, it is an incomplete predicate whose uses are restricted to its conjugated form ‘eo/aseo’ and its modifier form, being combined with a fixed postposition ‘eul/leul’ or the changing ending gi to turn the antecedent clause into a noun form. This should also be conveyed clearl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기 위해(서)/위한’, ‘을/를 위해(서)/위한’의 제시 현황
Ⅳ. ‘기 위해(서)/위한’, ‘을/를 위해(서)/위한’의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