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xistence of Price Bubbles in Korean Housing Market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최차순(Choi, Cha-Soo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30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파트 매매가격에 거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과민변동성검정과 공적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거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로, 거품의 크기는 전국, 서울 및 강남지역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강남지역 아파트 가격에 거품이 가장 클 것 이라는 믿음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둘째로, 정부는 특정지역 중
심이 아닌 거시적 차원에서 부동산시장 안정화정책을 펼쳐야 할 필요성이 있다. 끝으로, 부동산 가격 급등 시 금리정책은 경제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장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We test the existence of bubbles in Korea s house prices by using Shiller s excess volatility test and Johansen s cointegration test. As a result of that, the probability of bubbles existed. we can see more possible in bubbles existing than that of lack of bubbles throughout the sample period. The suggestions that are made from this study are follows: 1. The ranks are all cities, Seoul, Kangnam.
The volatility size of Kangnam area s apartment price bubbles is smaller than that of Seoul area and all cities. All the difference of belief in Kangnam price bubbles are the biggest in korea. 2. Governors need to carry out their policy on
the stability of real estate market with comprehensive view. 3. At time of real estate price s high increase, the government needs to deal with the policy of controlling interest rate to exert a wide influence on all of economy
pre-emptively to keep homeostasis of real estate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주택가격과 거품
1. 주택가격 추이
2. 거품의 경제적 효과
Ⅲ. 거품에 대한 선행 연구
Ⅳ. 주택가격 거품의 실증분석
1. Shiller 검증을 통한 분석
2. 공적분 검정을 통한 분석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