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Landslide Risk Distribution Pattern under Extreme Precip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만일(Kim, Man-Il) 곽재환(Kwak, Jawhwan) 전병희(Jun, ByongHee) 김남균(Kim, Namgy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3호, 105~11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한 토층의 포화깊이비를 고려한 무한사면 안정해석 식을 이용하여 울산지역에 적용하였다. 무한사면
안정해석 식에서 사용되는 인자의 울산지역의 값은 GIS를 이용한 공간정보의 활용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획득하였다. 울산지역의사용된 평균 인자 값은 점착력 30.84, 단위중량 1.46 , 비중 2.65, 유효 토심 0.41, 내부마찰각 27.15°로 나타났다.
확률 강우량도에 기반하여 적용된 강우강도는 10년 빈도 57.8 , 50년 빈도 78.5 , 100년 빈도 87.3 , 500년 빈도 107.5 ??로 60분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설정하여, 강우강도별 산사태 발생 위험 지역을 도출하였다. 산사태 발생 위험
지역은 국토교통부에서 공고하는 ‘건설공사비탈면설계기준’을 참고하여 우기시 최소 안전율인 1.3을 기준으로 1.3보다 낮은
지역을 추출하였다. 0~1.3의 값을 가지는 안전율은 강우빈도에 따라 변화하는 침투 깊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강우강도가 높을수록 위험한 등급인 1등급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강우강도가 낮을수록 위험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4등급의 면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되는 토층 내 강우침투의 영향에 의한 울산지역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은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위험지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10년빈도의 위험 결과 매우높음(1등급)과 높음(2등급)의 위치와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제시되는 위험등급이 매우높음(1등급)과 높음(2등급)에 해당하는 위치와의 비율이 각각 40%와 35%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향후,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안전율을 조절하고, 현장조사로 얻어진 데이터의 조사 개소수를 높이면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landslide risk in Ulsan, Korea using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rainfall infiltration in the soil layer. The parameters used in the analysis were obtained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field survey using the following parameter values: a cohesion of 30.84, unit weight of 1.46 ???? , specific gravity of 2.65, effective soil depth of 0.41, and internal friction of 27.15°. The rainfall intensity was set to last for 60 min at a 10-year frequency of 57.8 , 50-year frequency of 78., 100-year frequency of 87.3 , and 500-year frequency of 107.5 . The minimum safety factor for the landslide risk was set at 1.3, according to the slope design criterion of construction slope announced by Korea 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afety factors with the values of 0-1.3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grades based on the saturation depth ratio varying with the rainfall intensity. The higher the rainfall intensity,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the first grade (very dangerous) area. For verification, the landslide risk area proposed in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the ‘Landslide Risk Map’ provided by Korea Forest Service. It is expected that high accuracy could be achieved in future by increasing the field survey data.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지역
4. 물성정보구축
5. 침윤선 변화를 고려한 무한사면 안정해석
6. 결과 및 토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