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atred Society and Citizenship education of Coexistence: Focusing 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원(Jeong, Jae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1호, 99~1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15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혐오 정서가 확산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시민성 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혐오양상은 그 자체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공존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의식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시민성 교육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민성 교육의 역사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구체적인 교육의 현장에서 혐오라는 주제를 어떻게 시민성 교육의 맥락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대학의 시민교육 수업에서 혐오의 문제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교육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혐오’라는 주제에 대해서 대학생들의 인식과 이에 대한 분석 그리고 논쟁 방법, 실천활동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혐오표현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혐오를 예방할 시민교육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ought to find ou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suggested as a countermeasure to the hatred trend which is spreading out in Korean society. The step towards the hatred trend in Korean society requires a sense of transition to a co-existence society beyond the criticism of itself and needs to move on to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the history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meaning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how the subject of hatred could be applied to the specific educational field in the line of citizenship education was discussed.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methods were put forward to how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atred in the citizenship education classes of universities. On the subject of hatred,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analysis of it, how to argue, and how to act were propos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ases of citizenship education to prevent hatred whilst hatred expression is spreading to social problems and explored its meaning.
목차
Ⅰ. 서 론
Ⅱ. 시민성 교육과 공동체적 가치 회복
Ⅲ. 대학의 시민교육 사례: 혐오 이슈를 중심으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