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rth-Korean defected-university student’s difficulties of adjusting to higher education and the needs of supporting poli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희(Cheong, Sung Hui) 조은식(Cho, Eun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1호, 1257~12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이하 탈북대학생)들이 대한민국 대학교육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학업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탈북민의 북한 교육경험과 한국 교육방식의 차이, 현 사회적 지위 및 경제적 요인, 그 외 심리, 언어, 환경적 요인
들을 고찰하여 14인의 탈북대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4인 설문 조사 및 4인 인터뷰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탈북대학생들은 대학 학업 자체를 힘들어 하지는 않았다. 둘째, 경제적 요인 또한 큰 어려움이라 응답하지 않았다. 셋째, 심리, 언어적, 환경적 요인과 대학생활의 어려움 및 학업 부적응은 관련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인터뷰 결과 또한 위의 분석 결과를 뒷받침해주었다. 탈북대학생들은 한국 사회 정착 및 대학학업 곤란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본연의 능력 혹은 북한사회에서의 과거 교육경험에 두지 않고 대학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교우관계, 교수자의 설명 및 언어 뉘앙스 차이라 지목하였다. 또한 위 요인은 이해곤란과 심리적 요인으로 야기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연구대상 표본 수 한계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본 연구 결과는 탈북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 현황 및 적응 곤란 요인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어떻게 그들의 학업 수행에 도움을 주는 해결책,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자국민의 이해도를 높여 탈북대학생들의 한국 교육과정 적응에 도움을 주어야 할지
에 대한 후속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ortray the difficulties of adjusting to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by the ones who defected from North-Korea (hereaf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 total of fourteen participants enrolled at one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four different domains: (1) the
socio-cultural factors, (2) economic factors, (3) education background factors, and (4) desired policies. Four interviewee-participants also reported their opini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their degree of difficulties adjusting to the academic environment in Korea. Without regard to economic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heir difficulties
were caused by the current relationship with the classmates, group-mates and professors. Additionally, they had difficulties in revealing their ethnic identities, which might cause bullies and prejudice among peers. The results portrayed that first, they need to be peer-supported to complete their academic duties. Second, the peer group as
well as community participants’ acceptance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needs and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examine whether other majority of research participants would show the sam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of enhancing North-Korean defectors’ abilities of studying in academic environments
were additionally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