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relationship on sixth graders by applying the program using the MMTIC.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의숙(Hyun, Eui-suk) 황혜정(Hwang, Hye-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1287~13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에게 MMTIC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탄력성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MBTI 전문자격교육 중 MBTI 성장 프로그램 지도자 안내서 및 선
행연구들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A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22명으로 임의배정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실험집단에는 MMTIC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50분씩 총 12회기 실시했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자아탄력성과 교우관계 사전·사후 간의 점수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MMTIC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우관계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에서 자아탄력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추후 연구는 교우관계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회기를 연장하여 실시하면 교우관계 효과성까지도 알아볼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relationship on sixth graders by applying the program using the MMTIC.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compos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and the instruction manual for MBTI working program leader in the MBTI professional qualified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randomly assigned to 22 experiment group members and 22 comparison group members for 6th grade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programs using the MMTIC for a total of 12 times
every 50 minutes, however;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do the programs with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co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go-resiliency elasticity of the participants and the gap in the scores between the pre- and post-conference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programs using the MMTI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go-resiliency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bu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improves ego-resiliency in school life. Further studies suggest extending the program s session to
identify even the effects of relationship, taking into account the sub-factors of relationshi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