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주(Jeong, Eun-Joo) 민병미(Min, Byeong-Mee) 손연아(Son, Yeon-A) 맹희주(Maeng, Hee-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829~8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창의적 이공계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계층인 이과계열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사고양식의 특성을 조사하고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의 이과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총 285명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창의성 인성에 따라 상하그룹으로 구분하고 사고양식의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과계열 고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입법형, 계급형, 지엽형, 외부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을 지니며, 창의적 인성과 외부형, 지엽형, 계급형, 입법형, 자유형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인성이 높은 그룹은 창의적 인성이 낮은 그룹보다 입법형, 사법형, 계급형, 무정부형, 지엽형, 외부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을 유의미하게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인성이 높은 그룹은 지엽형, 무정부형, 계급형, 사법형, 입법형, 자유형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창의적 인성이 낮은 그룹은 사법형, 외부형, 지엽형, 계급형, 입법형, 자유형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수형의 사고양식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미하게 부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과계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활용방법으로 학습자가 선호하는 사고양식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보수형 사고양식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s, which is a potential group that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reative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in preparation for future socie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departments in the Kyonggi-do high school. A total of 28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ccording to creativity personality, high and low group were classified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s generally have the thinking style of legislative, hierarchic, local, external, liberal,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in order of external, local, hierarchic, legislative, and liberal.
Second, it was analyzed that high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were more likely to prefer the thinking style of legislative, judical, hierarchic, anarchic, local, external, liberal than low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significantly. The high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rder of local, anarchic, hierarchic, judical, legislative, liberal, the low creativity personality group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in the order ofjudical, external, local, hierarchic, legislative and liberal.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nservative thinking sty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preference thinking style of the learner a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in the science department, but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ervative thinking style should be avo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