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예솔(Jeong, Ye-Sol) 홍지영(Hong, Ji-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1233~12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
라남북도 지역의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ablished a causal structural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insecure and avoida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he power index of variable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pertaining to 362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empathy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Second, emotional empathy also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However, emotional empath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Third,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had a partial sequential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and a complet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