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순아(Lee, SoonAh) 김현진(Kim, Hyun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691~7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생애목표와 단위수업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불안과 자기주도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지역 6개의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일부터 19일까지 생애목
표, 불안, 자기주도성 및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생애목표는 수업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외재적 생애목표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생애목표는 자기주도성에 정적 영향을,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재적 목표는 자기주도성에 부적 영향을,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과 자기주도성은 생애목표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를 보였는데,
생애목표 내용에 따라 차별적인 구조관계를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표 내용이 현재 단위수업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반응과 학습 주도성 및 수업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goals on their cours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cour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We analyzed the data of 578 students(male=136
and female=442), which were extracted from six universities in five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This results indicated that intrinsic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urse satisfaction, whereas extrinsic goals had no direct effect on course satisfaction.
Second, intrinsic goal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ness and negative effects on anxiety, whereas extrinsic goals showed the opposite resul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varied with the contents of life goals. In particular, there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separat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ul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lf-directedness individu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goals and cours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elping university students develop intrinsic life goals in order to promot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ir courses and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