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현(Yoon, Jihyun) 권지훈(Kwon, Ji-Hun) 강성주(Kang, Seong-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561~5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총 15차시 동안 중학교 과학 동아리 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소프트웨어에 대한 태도, 협업,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모두 끝난 후 이루어진 반구조화된 사후 면담을 통해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태도, 협업,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은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사전 검사의 평균 점수 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도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디자인 씽킹 전략은 메이커 교육의 본질에 입각한 문제해결활동을 돕는데 시너지 효과를 냄으로써, 학생들의 역량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applied it to 20 science club students of middle school for 15 hours from June to July, 2017.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veloped programs in terms of the software attitude, collaboration, creative tend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features of the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semi-structured post interview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scores of the post-tes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for software attitude, collaboration, creative
tend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design thinking strategy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competencies by synergy effect in helping problem solving activity based on the nature of maker education. W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