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their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소영(Shin, Soyoung) 권성연(Kwon, Soung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393~4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지침 제공을 목적으로 C시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교에서 계절학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강의 추천 이유와 좋은 강의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 8일~12일까지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415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좋은 강의 추천이유는 3개의 영역(인지적, 정의적, 행동적)별로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성별, 학년, 단과대학) 및 성적에 따른 분석 결과, 단과대학에 따른 차이가 행동적 영역의 추천이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른 영역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 특성별로 선택비율이 높은 문항이 다르게 나타나 학생 특성에 따라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좋은강의 추천이유의 영역별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항목을 종합한 결과, 지적인 만
족감을 주고, 교수님의 열정을 느낄 수 있으며, 공부하게 만드는 강의가 학생들이 좋은 강의로 추천한 강의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의 좋은 강의 선택 이유에 대해서는 모두 가장 낮은 선택비
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수와 학생의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특정대학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학생특성에 따른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 차이의 후속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ing good teaching which meets college students’ need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f good teaching was conducted targeting 415 H-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C city.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s except behavioral category of students’ major. Even 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 some different perception was founded by students’ characteristic. This impli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In general, the most frequent characteristic of good teaching by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respectively was intellectually satisfying teaching, passionate professor, inducing to study. The perception of professor about the reason of students’ selection of good teaching was different from the reason of students’ own selection of good teaching.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but provided the beginning of the 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