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희원(Bang, Hui-Won) 조규판(Cho, Gyu-P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330~34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8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동기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성취동기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준을 각 50%로 범주화한다음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몰입이 낮다.
둘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낮다.
셋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전략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전략이 낮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을 학습상황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성취동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를 위한 학습-상담-진로-취업의 연계프로그램 등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863 undergraduate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e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Learning Flow Scal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were used. To distinguish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4.0 program, categoriz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to 50% of each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flow.
Seco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iffer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ivation level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low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strategy.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control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learning-counseling-career-employment linkage for learn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