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Oral Presentation on Sejong Spoken Corpus for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민(Kim Hyeong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9호, 223~2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종구어말뭉치의 발표 담화를 분석하여 한국인 대학생의 발표 에서 많이 쓰이는 어휘와 표현을 추출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세종구어말뭉치의 발표 담화 10개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말뭉치 분석 프로그램 Antconc를 이용하여 단어 및 표현의 빈도, 빈도가 높은 표현인 ‘-(으)ㄹ 수 있-’과 결합하는 동사 및 어미의 형태, 발표 담화와 일상 대화의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의 발표에서 지시사와 간투사, 담화표지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가장 많이 나타난 표현은 ‘-(으)ㄹ 수 있-’이었다. 또한, 발표 담화와 일상 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표 담화에서는 격식체를 사용하고 축약과 조사 생략이 일상 대화보다 많이 나타나지 않으며 발표의 응집성을 위한 담화표지와 주제를 나타내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ation discourse of the Sejong Spoken Corpus, to extract vocabulary and expressions commonly used in the present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utilize them in Korea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en speeches of Sejong Spoken Corpu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corpus analysis program Antconc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words and expressions, the forms of verbs and suffixes combined with ‘-(으)ㄹ 수 있-’ the most frequent express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oral presentation and daily convers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resentation were seen. The analysis showed a high frequency of indicators, interjections, Discourse markers, and the most frequent expression is ‘-(으)ㄹ 수 있-’.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oral presentation and daily conversation indicated that formal speech was used, abbreviations and omissions were not shown more than daily conversa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discourse markers are used for the coherence of the presentation and the expressions to express the topic are used a lot.
목차
Ⅰ. 서 론
Ⅱ. 분석 방법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