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Experience Activit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경(Goh Eun Kyoung) 전효정(Jeon Hyo Jeong) 엄성혜(Eom Sung Hye) 이난희(Lee Nan Hee) 김동진(Kim Dong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9호, 733~7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체험활동에 따른 삶의 만족도 효과를 알아본 것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중 초4 패널의 2014년 (5차 자료, 중학교 2학년), 2015년(6차 자료, 중학교 3학년), 2016년(7차 자료, 고등학교 1학년)에 걸쳐 수집된 1,314명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초4 패널의 5차, 6차, 7차 자료에 공통적으로 조사된 변수들을 공변량으로 활용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은 부구간 맞춤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매칭 전과 매칭 후의 평균을 각각 독립표본 t검정과 Welch’s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이 중학교 2학년(t=-2.20), 3학년 시기(t=-2.07)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는 교내동아리활동(t=-2.18)이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보다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level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activities of adolescents by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mo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SPS), 1,314 longitudinal data collected over 5th (2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in 2014), 6th (3rd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5) and 7th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 in 2016). All the variables commonly investigated in the fifth, sixth and seventh data of the grade 4th in elementary school panels were used as covariate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weights according to the sections in the method of partial section fitting. The mean before and after matching was analyzed by performing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Welch s t 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the fandom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olescent s life in the second grade (t =-2.20) and third grade (t =-2.07). Second, during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chool club activities (t =-2.18) significantly reduced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youth s experience activities can practically contribute to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