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긴장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38

영문명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of Job Induced Tension for Nurses in a Large Hospital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고승석(Goh, Seung-Suk) 신호철(Shin, Ho-Chul)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6권 제2호, 115~13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병원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병원 내 인적자원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병원의 전체 직원 중 간호사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면서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여 HR 실무자들은 이들의 직무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직무성과와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들은 많지만, 리더의 임파워먼트 행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권한을 공유함으로써 자율성을 부여하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간호사 환경에서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직무긴장을 매개변수로 제안하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직무긴장의 매개효과성에 대해 검증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20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임파워링 리더십이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상했던 것처럼 직무긴장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간호사들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하여 이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기결정성이론과 이요인이론을 통해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긴장을 거쳐 직무만족에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여 임파워링 리더십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competition among hospitals increases, there is greater need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mong the many positions in the hospital. HR practitioners are concerned with nurses because they perform the most important duties and represent the biggest group of employe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 there has been few studies that focused on the actions of leaders who enhance empowe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job induced tension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t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207 cases of vali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main effect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job induced tension. The results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job induced tension by nurses reveale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empowering leadership affecting nurses’ job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review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ddre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승석(Goh, Seung-Suk),신호철(Shin, Ho-Chul). (2019).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긴장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경영학회지, 16 (2), 115-135

MLA

고승석(Goh, Seung-Suk),신호철(Shin, Ho-Chul).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긴장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경영학회지, 16.2(2019): 115-13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