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L2 English Writing Feedback on English Writing Competency: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송은(Lee, Son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749~7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언어 쓰기 지도에서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쓰기 피드백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식으로 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학술적으로 논의
하였다.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학술논문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본 연구를 위해 마련된 연구 자료 선별기준에 따라 총 23편의 선행연구들을 최종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우선 선정된 연구를 국내연구와
국외연구로 구분하고, 개별 연구에서 적용된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직접 피드백), peer feedback(동료 피드백), in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간접 피드백)으로 분류하여 조작적 정의하고 피드백 유형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선별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적용한 교사의 직접 및 간접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동료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
작문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2 writing feedback practice o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L2 writing feedback. More than 500 studies on English writing feedback practice were collected and reviewed from January to March, 2019; 23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es of the study. The selected studies were first divided into domestic stud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then,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eedback types that each study implemented, direct
teacher feedback, peer feedback,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tudent writers’ English writing development while peer feedback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The analyzed studies
have somewhat high heterogeneity regarding teacher feedback; however, they have low heterogeneity with regard to peer feedback. It is thought that such heterogeneity was caused by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s or assignments that the studies employed to evaluate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and their distinct evaluation standar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