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ursing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about difficulty in degree course: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다인(Lee Da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625~6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통해 간호대학원생이 인식한 학위논문 작성 어려움에 대한 경험의 구조를 살펴보고 유형화함으로 그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간호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도되었다. Q 모집단
구성을 위해 간호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대한 경험을 심층면담하고 관련 주제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여 도출된 Q 모집단 중에서 34개의 Q 표본 진술문이 추출되었다. Q 표본 진술문을 서울소재 대학원에 재학중인 37명의 간호대학원생에게 9점
척도의 정규분포표에 분류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간호대학원생이 인식한 학위논문 작성의 어려움에 대한 경험은 4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제 1유형은 능력부족 자책형, 제 2유
형은 지지체계 기반 극복형, 제 3유형은 논문진행 절차 부담형, 제 4유형은 부정적 감정 표출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는 간호대학원생이 학위과정동안 연구자로서의 뚜렷한 소명감과 자긍심을 갖게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간호
학자로 도약하도록 돕는 교육 매체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ategies about difficulty in degree course in 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program and desirable directions. Methods : A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34 selected Q-statements were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37 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9-point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pc-QUANL program. Results : Four types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difficulty in degree course were identified. The
name for type Ⅰ was ‘Lack of ability’, for type Ⅱ, ‘Overcoming due to social support’, for type Ⅲ, ‘Difficulty of report writing itself’, for type Ⅳ, ‘Expose one’s negative emoti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to educational programs can be used for graduate nursing students in degree cour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