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in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Children’s Career, Psychological and Academic Outcom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연은모(Yeon, Eun Mo) 최효식(Choi, Hyo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305~3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진로관련행동이 어떤 프로파일의 유형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다문화 가정 청소년 자녀의 진로, 심리, 학업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2016년)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의 자녀 1,201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1) 낮은 지지와 간섭-보통 관
여부족 집단, (2) 높은 지지-낮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 (3) 보통 지지, 간섭, 관여부족 집단, (4) 보통 지지-높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 (5) 높은 지지와 간섭-낮은 관여 부족 집단의 5개 유형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에 따라 진로결정성과 진로장벽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높은 지지-낮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2)’이 높고, 진로장벽인식은 ‘높은 지지-낮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2)’, ‘높은 지지와 간섭-낮은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5)’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집단에 따라 자녀의 심리적 특성인 사회적 위축,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높은 지지-낮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2)’과 ‘높은 지지와 간섭-낮은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5)’이 다른 잠재집단에 비해 사회적 위축, 우울은 낮고,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잠재집단에 따라 자녀의 학업적 특성인 성취동기,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높은 지지-낮은 간섭과 관여부족 집단(잠재집단2)’과 ‘높은 지지와 간섭-낮은 관여부족 집단 (잠재집단5)’이 다른 잠재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perceived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s of the above to children’s career, psychological, and academic outcomes on determined latent profi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1,20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Korean fathers and foreign mothers from the sixth-wave survey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NYPI).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ive potential latent profiles in the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 (1) low support and interference with lack of engagement group, (2) high support but low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group, (3) support and interference with lack of engagement group, (4) support and high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group, (5) high support and interference with low lack of engagement group.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s career decision making and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mong five groups: children who perceived high support but low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career decision making while children who perceived high support but low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or high support and interference with low lack of engagement were showed lower perception in career barriers. Third, these profiles were linked to children’s socially emotional withdrawal,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children with perception in high support but low interference and lack of engagement or high support and interference with low lack of engagement were more likely to show low socially emotional withdrawal and depression but hig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se group of children showed higher motivation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