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taction, peer attachment, and quality of life in youth leisur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소난영(Nahn Young, Soh) 박성희(Sung 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561~59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여가활동, 여가만족, 또래애착과 삶의 질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6월과 7월에 서울시 소재 4곳에 재학 중인 중학생 382명(남학생 189, 여학생 193)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
형을 통해 자료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여가활동, 여가만족, 또래애착, 삶의 질의 관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나 학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에 정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래애착과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만족은 또래애착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또래애착은 각각 청소년의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은 여가활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또래 애착은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청소년의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만족은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매개 하였으며,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청소년의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peer attachment and quality of life in youth leisur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peer attachment, an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as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of 382 middle school students(189 male, 193 female students). Second,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adolesc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eisure satisfaction, but the influence on the peer attachment and the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attachment.
Fourth, leisur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Fifth, leisure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nd peer attachment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leisure activities and adolescent s quality of life. In addition, leisure satisfaction of adolescent boy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 leisure activities and peer attach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eople and the quality of life of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