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호수(Ho Soo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685~7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자료 중 2016년에 수집된 5차 년도 중학교 교사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를 1수준으로, 학교를 2수준
으로 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일반직무 및 자율 연수 참여가 학습자중심수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학 관련 활동들 즉, 수업 공개, 수업 참관, 교육청 주관의
컨설팅 및 협의회 참여는 학습자중심수업 활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공식적인 교사전문성개발 활동으로서의 연수와 장학과는 대조적으로 비공식적으로 교사 간 이루어지는 협력이 학습자중심수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개발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using the fifth grade middle school teachers and school data collected in 2016 in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by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shop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upervision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ird, in contrast to workshops and
supervision as forma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