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첫 인사 화행 연구’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Vijay Kumar Yadav(비제이 쿠마 야더워)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1209~1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IKL)와 한국인 모어화자(KNS) 사이에 첫 인사할 때 어떤 시사점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 인사를 할 때, 모국어(힌디어 모어 화자,INS) 영향이 얼마나 미치는지에 대한 확인하기 위해서 인도인 힌디어 모어 화자를 선택했다. 모든 집단에 20명이었다. 모든 참여자가 네루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대학원생이었고 나이는 20대-30대 있었다.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토픽 (3급-5급) 기준으로 선택 했다. 3급-5급 학습자를 선택한 이유는 초급 학습자가 첫 인사 화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에서 몇 가지 상황을 선택해서 설문지(쓰는 형식으로) 만들고 세 집
단의 대상으로 담화완성 테스트(DCT)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그리고 썰 Searle( 1976)틀로 바탕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에 따라서 두 집단(KNS하고 IKL) 사이에 비슷한 점과 비슷하지 않는 점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done in three groups KNS(Korean Native Speakers), IKL(Indian Korean Learners) and INS(Indi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NS and IKl about first greeting speech act. INS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ther language influence to IKL while learning the foreign language. In each of the three groups there were 20 participants who were studying in Jawaharlal Nehru University(JNU). the IKL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opic level 3-5. Most of these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and theirs age were between 20s-30s. Present researched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DCT (Discourse Completion Tests)under the different circumstances in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ed which was in the written form. After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by DCT,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arle(1976) model analysi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NS and IKl about first greeting speech act were presen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Analyzed results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